본문 바로가기

경락2

한의학과 기공의 공통점 한의학과 기공의 공통점 경락과 경혈은 전통의학 치료의 근본 이론이면서 기공, 자연치유 요법들에도 적용되는 개념이다. 한의원에서 침을 놓고 뜸을 뜨는 자리가 바로 경락선상의 혈자리이다. 혈자리에 자극을 줌으로써 막힌 기운을 소통시키면 질병은 자연히 치유되는 것이다. 이렇게 기를 소통시켜 질병을 치유하는 것이 한의학이라면, 우리 인체가 스스로 기(氣)를 취하고 물리적 힘을 소통시키는 것을 기공이라고 한다. 생명체인 우리 인체 안에 에너지가 흐르고 있음을 부정하지 않는다면, 그 에너지가 흐르는 통로가 존재한다는 것은 당연한 이치가 아닐까? 그래도 그 실체를 인정할 수 없다는 사람들이 있다면, 단 한 번만이라도 내 몸을 통해 기(氣)를 운용하는 방법을 익혀 보길 권한다. 아주 잠시만이라도 몸을 통해 스스로 경험.. 2022. 11. 15.
치유를 위한 에너지의 출입구 확보하기 치유를 위한 에너지의 출입구 확보하기 좋은 기운은 들어와야 하고, 나쁜 기운은 나가야 한다 보잘 것 없어 보이는 길가의 작은 풀꽃 하나에도 우주의 섭리가 숨어 있다. 때가 되면 씨앗에서 싹이 트고 꽃을 피워 열매를 맺음으로써, 자연을 재순환시키고 생명을 이어가는 기능을 완벽히 수행한다. 하물며 만물의 영장이라는 우리 인간의 몸이 자연의 이치에서 벗어날 리가 없지 않은가? 자연의 이치에서 벗어나고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을까? 이 의문을 따라가면 인간이라는 생명체의 본질에 닿을 수 있다. 앞에서 우리 인체 내의 셀프운동장치가 작동되기 위해서는 적정량의 에너지(氣)가 공급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좋은 기운은 공급되어야 하고, 나쁜 기운은 배출되어야 한다. 자연의 본성은 순환이.. 2022. 11. 12.